글로벌 인재 활용의 모든 것 –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찰스 퍼거슨’

최근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개발자 구인난이 이어지면서 IT 기업들은 개발자 구인을 하기 위해 동남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데요!
당장이라도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현지 인력을 채용하고 싶지만 현지 사무소를 차리자니 앞길이 막막하고… 해외 법인이나 지사 없이는 과연 해외 인재 채용은 불가능 한 것일까요?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 여러분께 소개해드립니다.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의  글로벌 인재 활용의 모든 것, 지금 바로 아래 기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글로벌 인재 플렉스웍 개발자 구인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아태지역 총괄 ‘찰스 퍼거슨’

 

“펜데믹 이후 전 세계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욕구는 한층 더 커졌습니다. 최근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가 전 세계 CEO(최고 경영자)와 CFO(최고 재무 책임자) 2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0%가 넘는 응답자가 글로벌 경제성장을 낙관했으며, 글로벌 인재 채용 플랫폼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원격근무 어디서나 근무하는 ‘Work From Anywhere’ 업무 모델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했습니다.”

지난 5월 초 Forbes Korea와 언택트 인터뷰를 진행한 찰스 퍼거슨 클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아태지역 총괄의 말입니다. 그는 “팬데믹으로 국경 간 이동에 문제가 생기자 해외 출장이 중단됐고, 많은 기업이 해외 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팬데믹으로 해외를 오가는 일이 전보다 훨씬 힘들어졌지만, 기업들은 국내시장에 집중하는 것보다 글로벌 시장로 진출하여 성장하는 쪽으로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2012년 니콜 사힌(Nicole Sahin)이 설립한 글로벌 리모트 채용 플랫폼 회사입니다. 이곳은 현재 187개국에서 기업들이 해외 법인이나 지사를 설립하지 않고도 현지 규정을 지키면서 현지 인력을 채용할 수 있게 지원하며, 글로벌인재를 채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채용 후 급여·노무·회계 문제까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플랫폼으로 HR 서비스 전반을 책임을 지는 이른바 ‘기록상 고용주 시장(EOR, Employer of Record)’입니다.
또한, AI를 활용한 솔루션 덕에 HR 서비스뿐만 아니라 해외 지사를 설립하지 않고도 신규 시장 진출 여부를 시뮬레이션 과정을 거쳐 따져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지에서 직접 사업을 한다 해도 빠르면 12시간 이내에 최적의 현지 인력 리스트를 꾸릴 수 있으며, 올해는 G-P 리쿠르트 솔루션으로 한국을 포함한 주요 아태지역 국가의 전문 글로벌 인재 채용시장에도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개발자 확보 전쟁과 더불어 ‘원격근무(리모트 워크)’ 제도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의 전략에도 힘이 실리고 있는데요.
국내 IT 업계는 팬데믹과 상관없이 언제나 글로벌 개발자 확보에 ‘원격근무’라는 조건을 내세워왔습니다.
특히 네이버 관계사 ‘라인’은 국내에 한정했던 원격근무를 해외로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도 라인 전체 임직원의 약 60%는 사무실 출근 없이 완전 재택근무를 하고 있고, 90% 이상은 사무실 출근 횟수가 주 3회를 넘지 않습니다. 팬데믹 이후 꼭 출근하지 않아도 원거리에서 일할 수 있는 개발자 수요가 커지면서 국내보다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늘었습니다.

특히 개발자 한 명이 아쉬운 한국 스타트업 업계 입장에서는 더더욱 글로벌 채용 플랫폼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한국 AI 스타트업 알레시오의 베트남 품질 검수 센터, 모빌리티 스타트업 원더무브의 독일 현지 인력, 메타버스 기업 쓰리아이(3i)의 베트남 리모트 개발팀 등이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가 인력 채용을 도운 사례가 있으며,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한국 시장 자체도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도왔지만, “한국은 세계 최고의 인재를 보유한 시장”이라며 “한국 기업과 같이 일하면서 한국은 젊고 기술에 정통한 인력이 많은 곳임을 깨달았으며, 지금은 오히려 글로벌기업에 한국 시장 진출을 권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한국 시장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습니다.

 

한국 시장은 어떤 의미를 지닌 곳인가요?

한국은 성장 가능성이 엄청난 시장입니다.
전 세계를 통틀어 최고 수준의 인재가 집약된 곳이며, 막대한 외국자본이 꾸준히 한국으로 유입되는 것도 그런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줍니다. 

제가 봤을 땐 한국은 인구 대부분이 젊고 기술에 능통하며 교육 수준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기술 인재가 몰려 있는, 아태지역 제일의 인재 허브라고 말할 수 있죠. 
디지털 혁신도 빠르게 진행 중이며 혁신적인 스타트업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점도 글로벌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게 되는 매력적인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지금도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한국 진출을 원하는 글로벌 기업을 돕고 있습니다.

 

펜데믹 GP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한국 진출 플렉스웍

팬데믹으로 고용 시장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들었는데, 어떤 변화들이 있었나요?

팬데믹으로 다소 아이러니한 상황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업무 공간이 셧다운되고 인력난이 심각했습니다.
그래도 업무를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을 찾던 기업이 ‘원격근무(리모트 워크)’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죠. 비대면이 일상화되고 플랫폼의 힘은 갈수록 커졌습니다. 우리 생활에 첨단 디바이스가 늘면서 반도체 수요가 늘듯, 플랫폼을 이용할수록 IT 개발 인재 수요는 갈수록 늘었습니다.

로컬 인력이 부족하면 해외에서 글로벌 인재를 수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고용 기회의 민주화’가 실현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국가, 거주 지역, 인종에 상관없이 일할 기회를 말이죠.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능력 있는 글로벌 인재가 지리적 한계에 부딪혀 제대로 일할 수 없는 현실을 타파하는 데 필요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아태지역에서 근무 환경이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요?

네, 특히 아태지역에서 뚜렷한 징후가 있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해외시장 진출 계획을 접고나 진출을 철회한 경우는 없었다는 점입니다.
잠시 주춤했던 모습을 보이기는 했지만, 팬데믹 이후 아태지역 기업들의 시야가 확연히 넓어졌습니다.

2021년에 CEO와 CF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0% 이상이 회사가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해외 비즈니스를 확장해야 한다고 답했을 정도였습니다. 원격근무 활용 수준은 역시 한국이 가장 높지만, 아태지역을 중심으로 원격근무에 대한 인식과 활용 수준 모두 빠르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EOR(Emlpoyer of Record, 기록상 고용주 시장) 서비스 수요가 폭등하는 배경이라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인재 한국 해외 진출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플렉스웍 리모트워크 원격근무 재택근무
 

소개해주실 만한 한국의 기업 사례가 있을까요?

한국 스타트업이 해외시장 진출에 매우 적극적이며, 해외 인력을 활용하려는 의지도 그만큼 강합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 스타트업 3곳이 인상적이었는데요. AI 스타트업 ‘알레시오‘는 태아의 입체 초음파 사진을 분석해 태어날 아기 얼굴을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삼성SDS 빅데이터 연구소 출신인 창업자 김다운 대표는 베트남을 비롯해 동남아에 진출하기 위해 올해 베트남에 서비스·품질검수 센터를 열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베트남 현지에서 품질검수 센터 매니저를 찾아 고용하고 운용에 필요한 각종 사무를 맡고 있습니다. 일본, 싱가포르, 대만, 홍콩에도 진출 예정인 ‘알레시오’는 앞으로도 저희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와 함께 현지 리더급 인재를 찾을 계획입니다.

다른 한국의 기업 사례로는 ‘원더무브‘와 ‘쓰리아이(3i)‘가 있습니다. 스타트업 ‘원더무브’는 모빌리티·라이프 관련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0년 커뮤니티 모빌리티 서비스인 ‘원더풀’을 출시했고, 지난해 영상 상담 서비스를 활용한 ‘라이브 상담 서비스로 대기업과 협업하여 유럽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승승장구하던 ‘원더무브’도 독일 시장 앞에서는 애를 먹었는데요. 유럽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IT나 인터넷 기술 발전이 더뎌 현지에서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력을 채용하는 일이 쉽지 않았습니다. 당시 ‘원더무브’가 독일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의 인력을 채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저희가 나서서 글로벌 인재의 비자 문제를 해결해주었습니다. 더불어 현지 자동차 제조 OEM사와 모빌리티 기업을 연결해 관련 전문 인력을 채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메타버스 영상 제작에 특화된 스타트업 ‘쓰리아이(3i)’는 벌써 8개국에 연구소와 지사를 두었습니다.
AI(인공지능)·AR(증강현실)·VR(가상현실) 기술로 만든 메타버스 솔루션은 150여 개국에 서비스되고 있지만 ‘쓰리아이’도 한국 개발자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베트남에서 인력풀을 꾸리기로 하였습니다. 저희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는 ‘쓰리아이’의 베트남 현지 개발팀을 빠르게 구축해 해외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없도록 지원하였습니다.

 

해외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사실 초기에는 글로벌 기업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인바운드’ 비즈니스 비중이 컸지만 점차 글로벌로 뻗어가려는 한국 기업이 늘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은 그 어떤 나라의 기업보다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을 빠르게 따져보고 싶어합니다. 저희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와 협업 중이거나 논의 중인 한국 기업의 대다수가 해외 지사나 법인을 설립하지 않고 빨리 글로벌 팀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낍니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저희와 손잡는다면 비용과 리스크는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해 테스트를 해본 후 진출 여부를 가늠할 수 있으며, 현지에서는 법적 다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채용, 세금, 지사 설립 등의 부분에 서도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해외 진출 글로벌 인재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플렉스웍 원격근무 재택근무 외국계취업 해외취업

합류 전에 투자회사에서 일했다고 들었는데요.
사람을 찾아주는 일보다 돈을 움직이는 일이 더 매력적이지 않나요?

자본도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원하면서 현지 인력이 갖는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팬데믹으로 급부상한 ‘디지털 네이티브’, ‘원격근무 우선’ 등에서 핵심 소프트웨어는 ‘사람’이란 것을 알게 되었죠. 

우리 회사의 모든 솔루션은 디지털화되어 있다고 자부하지만, 그 어느 회사보다 인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최근 우리가 선보인 G-P 리크루트가 이런 의지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광범위한 글로벌 인재 채용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주요 시장에 포진한 유능한 글로벌 인재 채용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한국 기업이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단번에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의 전문인, 글로벌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글로벌 비즈니스의 성공은 현지 인력 확보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다면 해주세요.

우선 아태지역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말부터 하고 싶습니다. 아태지역은 디지털 기술에 정통하고, 디지털로 성장하려는 의지가 충만한 전문 글로벌 인력이 포진한 곳입니다.
글로벌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벌리기에 최적의 장소라는 느낌이 강하죠. 하지만 복잡한 현지 법률과 규정, 문화, 언어적 장벽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저희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가 이 벽만 허물어준다면 정체된 글로벌 기업에 새 바람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아태지역 신생기업들이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기업 누구라도 상관없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의지가 있다면 저희를 찾아주세요! 언제든 최상의 파트너가 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편집 Flexwork
참고 Forbes Korea, ‘찰스 퍼커슨 글로벌리제이션 파트너스 아태지역 총괄 – 글로벌 인재 활용의 모든 것’

 

👉🏻 “한국 기업… 이젠 해외 진출 ‘더’ 쉬워진다” 자세히 보러가기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ill the forms bellow to register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이직 시 축하금 50만원과 워케이션이 무료!
This is default text for notification bar